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
사이드바

이주노동자 태그글 모음

결과값: 1 - 25 of 165
관련단체: 1

아직 비닐하우스에 이주노동자가 산다

  http://ijunodong.org/./files/attach/images/222/557/005/63ef1084f4b82d7c9... alt="0421-…

댓글: 0  조회수: 10

2018년 11월,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

1. 부산 사상구 폐수처리업체 황화수소 누출사고 – 대기업연구소 위탁업체 소속 노동자(52세) 사망부산 사상구 학장동 폐수처리 업체 2층 집수조에서 11월 28일에 폐수처리 작업…

댓글: 0  조회수: 56

2018년 11월, 이달의 기업살인 현황

1. 부산 사상구 폐수처리업체 황화수소 누출사고 – 대기업연구소 위탁업체 소속 노동자(52세) 사망부산 사상구 학장동 폐수처리 업체 2층 집수조에서 11월 28일에 폐수처리 작업…

댓글: 0  조회수: 56

[문송면 30주기 특별 대담 <노동자가 되지 못한 노동자>]30년 전 온도계공장은 아직 없어지지 않았다

진행 전수경 / 노동건강연대   이야기 손님정다운 / 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이율도 / 이주노조 활동가허환주 / 프레시안 기자   녹취 한지훈 /…

댓글: 0  조회수: 77

[문송면 30주기 특별 대담 <노동자가 되지 못한 노동자>]30년 전 온도계공장은 아직 없어지지 않았다

진행 전수경 / 노동건강연대   이야기 손님정다운 / 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이율도 / 이주노조 활동가허환주 / 프레시안 기자   녹취 한지훈 /…

댓글: 0  조회수: 77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외국인 건강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이주노동자 차별

국내 체류 외국인이 200만 명을 돌파했다. 1993년 시작된 산업연수생제도와 2004년 고용허가제에 따라 이주노동자가 크게 늘어났고, 결혼, 유학, 재외동포 등 비(非)노동…

댓글: 0  조회수: 55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외국인 건강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이주노동자 차별

국내 체류 외국인이 200만 명을 돌파했다. 1993년 시작된 산업연수생제도와 2004년 고용허가제에 따라 이주노동자가 크게 늘어났고, 결혼, 유학, 재외동포 등 비(非)노동…

댓글: 0  조회수: 55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이론적 평등과 실질적 차별 - 이주노동자의 안전과 건강

미얀마 출신인 크로낭 씨의 남편 아웅리 씨가 얼마 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. 경기도의 한 자동차공장에서 휴게시간에 잠들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했다. 그는 본국에 있을 때 축구를…

댓글: 0  조회수: 38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이론적 평등과 실질적 차별 - 이주노동자의 안전과 건강

미얀마 출신인 크로낭 씨의 남편 아웅리 씨가 얼마 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. 경기도의 한 자동차공장에서 휴게시간에 잠들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했다. 그는 본국에 있을 때 축구를…

댓글: 0  조회수: 38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‘수단’에서 ‘존재’로 가는 길

필자는 이주민과 난민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에서 상근 변호사로 활동하며 법률 지원, 제도 개선 활동 등을 하고 있다. 결혼이주민, 이주노동자, 이주 아동 등 한국에 체류하는 다양한…

댓글: 0  조회수: 105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‘수단’에서 ‘존재’로 가는 길

필자는 이주민과 난민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에서 상근 변호사로 활동하며 법률 지원, 제도 개선 활동 등을 하고 있다. 결혼이주민, 이주노동자, 이주 아동 등 한국에 체류하는 다양한…

댓글: 0  조회수: 105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이주노동자, 누가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나

국내 거주 외국인 2백만 명 시대라고 하지만, 이들이 모두 같은 처지에 있는 것은 아니다.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에서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…

댓글: 0  조회수: 88

[우리 곁의 이주노동자] 이주노동자, 누가 어디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나

국내 거주 외국인 2백만 명 시대라고 하지만, 이들이 모두 같은 처지에 있는 것은 아니다. 이 글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중에서 취업활동을 할 수 있는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…

댓글: 0  조회수: 88

편집국에서

기록적인 더위입니다. 1994년 여름, 서울의 소문난 부촌 평창동에서 과외 아르바이트를 했던 일이 떠오릅니다. 부자 동네라고 골목길에 에어컨이 나오거나 에스컬레이터가…

댓글: 0  조회수: 35

편집국에서

기록적인 더위입니다. 1994년 여름, 서울의 소문난 부촌 평창동에서 과외 아르바이트를 했던 일이 떠오릅니다. 부자 동네라고 골목길에 에어컨이 나오거나 에스컬레이터가…

댓글: 0  조회수: 35

노동과 건강 2018 여름 통권 95호

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. (다운로드 하기 : 노동과건강_2018 여름 01 SPD.pdf)   …

댓글: 0  조회수: 48

노동과 건강 2018 여름 통권 95호

기관지 전체를 pdf 파일로 다운받아 보실수 있습니다. (다운로드 하기 : 노동과건강_2018 여름 01 SPD.pdf)   …

댓글: 0  조회수: 48

그래도 한국에 일하러 가고 싶어요!

생명 사상가 장일순 선생의 말씀이 기억납니다. 똥통이 빠진 친구가 있으면 밖에서 “더러우니까 나와” 라고 말하지 말고 친구가 빠져있는 똥통으로 뛰어들어…

댓글: 0  조회수: 207

그래도 한국에 일하러 가고 싶어요!

생명 사상가 장일순 선생의 말씀이 기억납니다. 똥통이 빠진 친구가 있으면 밖에서 “더러우니까 나와” 라고 말하지 말고 친구가 빠져있는 똥통으로 뛰어들어…

댓글: 0  조회수: 207

그래도 한국에 일하러 가고 싶어요!

생명 사상가 장일순 선생의 말씀이 기억납니다. 똥통이 빠진 친구가 있으면 밖에서 “더러우니까 나와” 라고 말하지 말고 친구가 빠져있는 똥통으로 뛰어들어…

댓글: 0  조회수: 210

그래도 한국에 일하러 가고 싶어요!

생명 사상가 장일순 선생의 말씀이 기억납니다. 똥통이 빠진 친구가 있으면 밖에서 “더러우니까 나와” 라고 말하지 말고 친구가 빠져있는 똥통으로 뛰어들어…

댓글: 0  조회수: 210

Feed does not exists

Feed does not exists. It was deleted a long time ago. Or never existed at all.

댓글: 0  조회수: 240

Feed does not exists

Feed does not exists. It was deleted a long time ago. Or never existed at all.

댓글: 0  조회수: 240

RSS is disabled

This RSS is disabled. You can enable it at Your account

댓글: 0  조회수: 311

RSS is disabled

This RSS is disabled. You can enable it at Your account

댓글: 0  조회수: 311